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은 통상임금 계산기 간단 사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근로기준법은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이란 개념을 정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죠. 특히 통상임근은 근롲가 정상적으로 근무하면서 받는 임금을 말하며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먼저 근로자가 받은 모든 임금을 합산합니다. 이에는 기본급, 상여금, 성과금, 초과근무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그런 다음, 이 합계를 근로자의 총 근로시간으로 나눕니다. 이렇게 계산된 결과가 통상임금인데요. 

 

계산법이 복잡하다면 이러한 계산을 자동화하여 근로자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계산기를 사용해 보세요. 사용자는 간단히 임금과 근로시간을 입력하면 계산기는 자동으로 결과를 표시해 줍니다. 최종결과에는 시간당 또는 1일 통상임금이 표시되며 결과는 바로 인쇄 또는 카카오톡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임금을 정확하게 추적하고, 공정한 임금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래는 통상임금 계산기 간단 사용법입니다. 참고하셔서 유용하게 사용해 보세요.

 

통상임금 계산기

 

 

통상임금 계산기 간단 사용법

 

 

1. 계산기 페이지에서 근무시간, 급여액, 야근근로, 휴일근로, 재직기간, 연장근로, 연차휴가 수 등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2. 입력한 내용을 확인 후 틀린 부분이 있다면 수정해 주세요.

 

 

3. 세부계산 결과에서 월 기본급, 고정수당, 월 소정근로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최종결과에서 시간당, 1일 통상임금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댓글